칫솔(toothbrush) : 칫솔은 대표적인 구강위생용품으로서 치아 표면에 부착된 치면세균막과 부착물을 가장 효과적으로 닦고 치은을 마사지하는 도구이다. 고대 사람들은 방향성이 높은 성분을 가진 나뭇가지를 씹어 입안을 상쾌하게 하고 치아표면을 청결히 하였으며, 아랍인들은 나무의 섬유가 칫솔 모 (bristle)처럼 뻗어져 나와 있는 아락(arak) 나무의 뿌리 조각을 칫솔대신 사용하였다. 몇 번 사용 후 칫솔모가 부드러워지면, 그 끝부분을 벗겨내어 새로운 칫솔모를 만듦으로써 새로운 '칫솔'을 만들 수 있었다. 항균 오일과 탄닌을 포함하는 이 나뭇가지를 씹는 것은 치아를 물리적으로 청결히 하거나 세균막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 중국인들은 당나라 시절에 강모를 가진 손잡이로 구성된 칫솔을 발명하였으며, 1780년에 영국에서 William addis는 '최초의 현대적 칫솔'이라고 명명된 칫솔을 만들었다. 이 도구는 뼈대로 된 손잡이와 천연돼지털을 끼우기 위한 구멍이 있어서 이를 철사로 고정하도록 되어있다. 1900년대 초에 동물뼈로 된 손잡이는 셀룰로이드로 교체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변하는 동물뼈와 돼지털 공급이 감소된 제2차 세계대전 때 가속화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중국과 러시아에서 고품질의 돼지털 강모(bristle) 공급이 단절됨에 따라 나일론 강모가 대신 사용되었다. 이후 자연모의 공급부족에 의해 현대적인 나일론 모의 면모를 갖춘 칫솔이 등장하게 되었다.
칫솔의 형태 - 칫솔은 두부와 연결부위 및 손잡이 부분을 구성되어 있다. 두부는 칫솔모가 심어져 있는 칫솔의 앞부분을 말하며 강모가 식립 되어 있다. 칫솔모의 경도나 질감은 칫솔모의 구성, 직경, 길이, 강모 당 칫솔모 수와 관련된다. 칫솔모의 직경은 나일론의 특성상 제작과정에서 잘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칫솔모의 질감에 대한 중요한 결정요소가 될 수 있다. 그 밖에 기온과 물 흡수율, 칫솔사용 빈도와 같은 요소 역시 질감에 영향을 미친다. 손잡이와 두부 사이에 있는 연결부위를 목이라고 하며 비교적 두께가 얇고 가늘다. 일반적으로 연결부위는 직선형이나 15도 미만의 경사 정도는 구강 내에서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파지시 보다 편안함을 위해 목뒤에 엄지손가락이 놓일 자리를 만들기도 한다. 손잡이는 칫솔의 끝부분에 해당하며, 손으로 감싸서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칫솔을 더 잘 잡기 위해 측면을 따라 삼각형의 돌출부나 함몰부를 주거나, 구강 내와 구강 주위에 더 잘 접근시키기 위해 다양한 각돌 구부러져 있는 '각도가 있는' 형태 등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칫솔 손잡이의 다양한 디자인과 길이는 칫솔을 사용하는 동안 편안함과 순응성을 제공한다는 것이 최근 입증되었다. 일반적을 손잡이 모양은 굳이 굴절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직선형이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칫솔의 구비조건 - 칫솔의 일반적 구빚건은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어야 하며, 두부가 모든 치면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하고, 강모가 일정한 탄력을 가지며, 가늘어야 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외관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해야 하는 등의 8가지 구비조건을 열거할 수 있다. 한편 마국치과의사협회(American Dental Associa-tion ; ADA)는 칫솔의 구빚건에 대해 강모 단면이 수평이어야 하고, 강모가 일정한 탄력을 지녀야 하며, 두부가 모든 치면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최소한의 조건만을 제시하고 있다.
칫솔의 분류 - 칫솔은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용도에 따라서, 칫솔을 일본 대중들이 자연치아를 세정하는 용도를 의마하는 일반칫솔과 특별한 용도를 가진 특별 칫솔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특별칫솔은 지체부자유자나 특정부위에 사용 가능하도록 그 용도에 따라서 제조 및 판매하는 것으로서, 전동 칫솔이나 의치를 세정하는 의치솔과 치간을 세정하는 치간솔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칫솔질이 손의 동작에 의하여 창출되는 수동칫솔과 전동기에 의하여 창출되는 전동칫솔로 분류할 수 있다. 전동칫솔은 치면에 부착되어 있는 음식물잔사와 치면세균막을 비교적 만족할 정도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전동칫솔을 사용하여 치아를 세정하는 경우 행위자가 자기의 의사대로 칫솔질 행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전동칫솔을 사용하는 과정에 치은손상이나 구강점막손상 또는 과도한 치경부마모가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칫솔두부를 자주 교환해줘야 하기 때문에 손쉽게 구입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기도 한다. 전동칫솔은 작고 둥근 대구치 치관 크기의 칫솔 두부를 가진 회전, 진자형과 진동 혹은 회전 음파운동을 하는 세가개의 진자형 칫솔로 구분되며 근래에는 전동 칫솔모의 운동형태가 짧은 진동운동과 미세한 음파를 이용하여 칫솔질을 더욱 손쉽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제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전동칫솔은 주로 장기입원환자, 지체부자유자, 고정성교정장치 장착자, 치주질환자에게 권장되며, 또한 전동칫솔 사용은 칫솔질 교습을 병행하였을 때 그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모의 강도는 강모의 재질과 지름, 길이에 따라서 그 강도가 결정되며 빳빳한 정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강모의 재질은 나일론이고, 강모의 길이는 10~12mm으로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강모의 지름이 강도를 경정하는 인자가 될 수 있다. 또한 강모재료나 건습정도도 강모의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치아 건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실 - 꼭 사용해야할 구강위생 보조용품 (1) | 2024.01.07 |
---|---|
구강위생용품 종류와 치간칫솔 사용법 (1) | 2024.01.07 |
칫솔 선택기준과 보관방법 (0) | 2024.01.06 |
치면세균막 관리 - 치면세마의 개념 (0) | 2024.01.03 |
감기 다음으로 많은 질병 치주질환 (0)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