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활면우식증1 소아의 치아우식증 치아우식증은 치아의 경조직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경조직의 무기질 성분이 탈회되는 것이 특징이다. 무기질이 탈회된 후에는 남은 유기질의 파괴가 일어난다. 이러한 치아우식증이 진행되려면 치아, 미생물, 탄수화물과 시간의 네 가지 요건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한다. 평활면 우식증은 평활한 법랑질 표면에 발생하는 우식증으로 유치에서는 제1유구치의 원심과 제2유구치의 근심 접촉면 바로 하방에 많이 발생하며, 구강위생 상태가 나쁜 경우에는 하악 유구치의 설면과 상악 유구치의 협면에도 발생한다. 8세 이후의 영구치에서는 제1대구치의 근심에 많이 보이며, 우식 이환율이 높은 청소년에서는 모든 소구치와 대구치의 근원심면에서 볼 수 있다. 다발성 우식증이 아닌 경우, 우식 유발 환경에 노출된 치아에 와동이 형성되기까지는 약.. 2024. 2.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