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주염의 분류와 치주농양
치주염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분류되어 왔는데 Page와 Schroeder(1983)에 의한 발병연령, 치주낭 내 세균의 종류와 분포상태, 백혈구의 기능, 형정 내 항체, 임상 및 방사선 사진소견, 진행과정, 병력 등을 근거로 하는 치주질환을 분류하였다. 성인성 치주염 - 여러 치주염 중 가장 빈발하는 형태인 성인형 치주염은 35세 이상에서 호발 하며, 만성치주염이란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특정한 파괴 양상 없이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치아에 진행되며 치태와 치석의 침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증상은 발적, 부종, 탐심 시 출혈이 있으며, 치조골 높이의 감소 및 치조백선의 소실, 수평 혹은 수직형의 골 파괴가 나타나며, 다근치인 경우에는 치근분지부 병변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임상적인 부착소실 정도에 따라..
2024.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