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

구강위생용품 종류와 치간칫솔 사용법 구강위생용품 종류는 다양하게 있다. 그중 치간 칫솔은 치험관 닦는 솔과 유사한 형태로 만들어져 치간 청결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구강위생용품이다. 칫솔모의 형태는 원통형인 것과 끝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사다리꼴인 것이 있고, 크기도 다양하므로 각 환자에게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한다. 치간칫솔은 칫솔질을 한 직후나, 칫솔질을 하기 어려운 경우 소지하고 다니면서 치아 구강 내 장치물 주위를 닦도록 하면 효율적인 치면세균막 관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치간 칫솔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과 칫솔모의 tip을 교환해 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제품들도 있다. 치간 칫솔의 사용은 협면에서 설면으로 안팎 왕복운동을 사용하되 솔이 치은에 닿은 채로 닦아야 한다. 이때 철심이 치아에 닿지 .. 2024. 1. 7.
칫솔 선택기준과 보관방법 칫솔 선태기준 - 칫솔을 선택할 때는 끝부분이 둥글거나, 강모의 재질에 있어서는 예리한 각이 나 있지 않은 나일론강모를 권장하며, 손잡이는 직선형이거나 목 부위에서 15도 미만으로 약간 경사진 것을 선택하는 것이 권장된다. 칫솔의 두부 크기는 칫솔 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서, 일반적으로 구치부 치아를 2~3개 정도 덮을 수 있는 것이 적당하다. 보통 2~3개의 치아별로 묶어서 하나의 단위로 하여 시행하는 것을 권장하기 때문에, 칫솔의 두부 크기도 대상자의 연령별로 치아가 맹출 된 상태에 따라 구치부 치아를 2~3개 덮는 정도가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보통 6세 미만의 소아에게는 20.3mm 이하이어야 하고 성인의 경우는 25.5mm 이하이어야 한다. 칫솔의 강모강도는 각 대상자별로 적절한 칫솔을 .. 2024. 1. 6.
구강위생용품 - 칫솔 칫솔(toothbrush) : 칫솔은 대표적인 구강위생용품으로서 치아 표면에 부착된 치면세균막과 부착물을 가장 효과적으로 닦고 치은을 마사지하는 도구이다. 고대 사람들은 방향성이 높은 성분을 가진 나뭇가지를 씹어 입안을 상쾌하게 하고 치아표면을 청결히 하였으며, 아랍인들은 나무의 섬유가 칫솔 모 (bristle)처럼 뻗어져 나와 있는 아락(arak) 나무의 뿌리 조각을 칫솔대신 사용하였다. 몇 번 사용 후 칫솔모가 부드러워지면, 그 끝부분을 벗겨내어 새로운 칫솔모를 만듦으로써 새로운 '칫솔'을 만들 수 있었다. 항균 오일과 탄닌을 포함하는 이 나뭇가지를 씹는 것은 치아를 물리적으로 청결히 하거나 세균막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 중국인들은 당나라 시절에 강모를 가진 손잡이로 구성된 칫솔을 발명하였으며,.. 2024. 1. 6.
치면세균막 관리 - 치면세마의 개념 치주질환의 예방법은 치면세균막관리와 예방적 치석제거법 등을 들 수 있다. 양대 구강질환의 원인인 치면세균막은 일반적으로 개인에 의한 칫솔질로 제거되고 관리되거나 일반적인 칫솔질만으로는 치아상실의 원인 질환인 치주병과 치아우식병의 예바와 관리에 한계가 있어 오늘날에는 다양한 치면세균막 관리법들이 병행되고 있다. 치면세마의 개요 - 구강청결은 구강질환을 예방 할 수 있는 지름길로써 구강질환의 원인 요소 중 환경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평범하면서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칫솔질이나 구강위생용품 등으로 평상시에 구강위생관리를 열심히 하여도 구조적으로 잘 닦이지 않는 부위가 있으며, 부착된 시간이 오래된 침착 물들을 칫솔질로는 완벽하게 닦이기가 어렵다. 즉, 치면세마란 이러한 치면세균막이나 더 진행된 치.. 2024. 1. 3.
반응형